- 평가내역
SOCIAL I-AWARD evaluation
등록정보
타이틀 | 케이뱅크 공식 인스타그램 | |||||||||||
---|---|---|---|---|---|---|---|---|---|---|---|---|
Kbank Official Instagram | ||||||||||||
서브타이틀 | 케이뱅크 | |||||||||||
Kbank | ||||||||||||
URL | https://www.instagram.com/kbank_official/ 사이트보기 | |||||||||||
소개 | 일상 이야기부터 요즘 뜨는 경제 이슈까지, 한눈에 모아보는 '생활 속의 케이뱅크' | |||||||||||
키워드 | 인터넷은행,금융,일상,MZ타깃,서비스연계,생활밀착 | |||||||||||
제작년월 | 2024.9 | |||||||||||
등록구분 | 인스타그램 | |||||||||||
후보등록분야 | 인스타그램 > 은행 등록분야 목록보기 |
|||||||||||
소속사 | 케이뱅크 | |||||||||||
소속사 제작진 | 미공개 | |||||||||||
대행사 |
비에이티 주식회사 정보보기 |
|||||||||||
대행사 제작진 |
|
|||||||||||
서비스 설명 | [목표]
경쟁이 치열한 은행 산업 내에서 케이뱅크만의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2030 메인 타깃층을 중심으로 한 SNS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강화하였습니다. 특히 앱 비활성 사용자와 잠재 고객에게 ‘생활 속의 케이뱅크’로 자연스럽게 인식될 수 있도록, 흥미로운 콘텐츠와 새로운 소통 방식으로 브랜드 호감도를 제고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2025년 브랜드 슬로건인 ‘기분 좋은 금융 생활’에 담긴 금융 혜택, 생활 금융, 돈 불리기, 즐거움 등의 가치를 고객의 일상 속 경험으로 연결하여, 인터넷 전문 은행으로서의 포지셔닝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고객 접점 확대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기획방향] 1. 타깃 맞춤형 커뮤니케이션 2030 세대의 콘텐츠 소비 성향과 관심사에 기반해 정보성, 캐주얼, 상품·서비스형 콘텐츠를 균형 있게 기획하여, 자연스러운 브랜드 노출과 호감도 상승을 유도했습니다. 2. 트렌디한 콘텐츠 문법과 포맷 적용 MZ세대가 선호하는 SNS 콘텐츠 문법을 적용하여, 재미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콘텐츠로 콘텐츠 도달률과 반응률을 높였습니다. 3. SNS-APP 간 유기적 연결성 강화 SNS에서의 콘텐츠 경험이 앱 사용으로 이어지도록, 앱 기능 및 혜택과 연계된 콘텐츠 기획 및 유도 동선을 설계했습니다. 4. 고객 보이스 반영과 피드백 기반 콘텐츠 개선 고객 반응과 피드백을 적극 수용하여, 실제 고객 니즈에 기반한 콘텐츠 기획 및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하며 콘텐츠 유효성과 브랜드 신뢰도를 동시에 확보했습니다. 5. 케이뱅크만의 커뮤니케이션 방식 정립 타 인터넷은행과 차별화된, 케이뱅크만이 시도할 수 있는 브랜드 메시지와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며, 일상 속 베네핏을 전하는 감성적 접근을 시도했습니다. [주요 콘텐츠] 1. 오늘의 생활시세 - 케이뱅크 ‘오늘의 생활시세’ 기능을 활용해 즉각적인 혜택성 정보를 전하는 생활밀착형 숏폼 콘텐츠 - 바로 적용 가능한 혜택 중심의 금융 정보를 제공해 저관여 고객의 관심 공략 - 시의성을 고려한 주제 선정으로 저장, 공유 등 콘텐츠 인터랙션 유도 2. 어디로든 케뱅 - 2030세대의 유동인구가 많은 로케이션을 직접 방문해 생활 소비와 재테크에 관한 생각을 들어보는 인터뷰형 숏폼 콘텐츠 - 시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케이뱅크만의 특장점을 간접적으로 소구 - 생활 속 공감가는 주제를 통해 잠재 고객의 브랜드 진입 장벽 완화 3. 머니 키워드 - 생활과 밀접한 시사 이슈와 금융 지식을 핵심만 쉽고 깊이있게 빠른 호흡으로 전달하는 요약형 콘텐츠 - 아이캐칭한 카피와 스토리텔링으로 금융에 대한 관심도 증대 - 타깃에게 필요한 지식을 담은 정보성 콘텐츠로 저장, 공유 등 인터랙션 견인 [성과] - 누적 팔로워 수 : 18,188명 - 콘텐츠 총 도달 수 : 8,865,190건 - 콘텐츠 총 인게이지먼트(좋아요+댓글+저장+공유) : 97,968건 (운영 기간 : 2024. 09. 01~2025. 04. 30 기준) |
|||||||||||
추가이미지 | ||||||||||||
제작/구축 관련 자료 | w_202505160451023325107315.pdf |